도시의 고유한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문화도시’ 사업의 취지와 달리, 일부 지역은 ‘할 것이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며 문화 활동 참여 저조라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특히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지 2년여가 지났지만,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조차 그 존재감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심화되는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 위기 속에서 도시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문화도시 사업의 근본적인 목적 달성에 대한 우려를 낳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각 문화도시의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다. 박람회에 참석한 37개의 문화도시 중,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각각 차별화된 전략으로 지역 문화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었다.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문화달성미래포럼,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 조성과 시민 참여를 강조했다. ‘들락날락 매거진’과 같은 홍보 자료는 타 지역에 비해 다채로운 소재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대구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려는 꾸준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현장에서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포춘쿠키 이벤트와 응원 메시지 남기기 행사 등을 통해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타 지역 사람들의 생각과 바람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경북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춘 사업들을 선보였다.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눈길을 끌었다. 특히 10월 18일과 19일에 개최될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행사로, 지역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관계자는 이 축제를 통해 방문객들이 편하게 참여하고 즐기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박람회에서 열린 <문화로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 포럼에서는 밀양, 속초 등 각지에서 활동하는 문화도시 관계자들의 현장 이야기가 공유되었다. 비록 4차 도시들은 직접 참여하지 않았지만, 포럼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인구 유출과 감소, 지역 소멸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대구 역시 청년 유출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고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시급함을 시사했다.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의 현황과 과제를 확인하며, 시민들의 작은 관심과 방문이 문화도시의 밝은 미래를 꽃피울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37개의 문화도시별로 운영되는 카카오 채널,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주기적으로 소식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2027년까지 제4차 문화도시로서 발돋움할 달성군과 칠곡군의 행보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아버지께서는 태권도 시범 공연 관람, 전통문화 체험, 마당극, 북 공연 등에 대한 기대를, 어머니께서는 인접한 두 군이 함께 만드는 프로그램 참여와 역사 중심의 문화 행사 개최를 희망했다. 박람회 참여를 통해 문화도시의 노력과 가치를 직접 느낀 방문자는, 더 늦기 전에 문화도시 선정 소식을 널리 알리고 제4차 문화도시인 달성군·칠곡군을 포함한 다른 문화도시들의 행보를 꾸준히 응원하며 관심을 가질 것을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