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이 겪는 취향 탐색의 어려움과 고립감 해소를 위한 특별한 시도가 마련되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이러한 청년들의 고민을 해결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의 진정한 취향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인과 연결되는 경험은 청년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청년문화사용법’은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되며 청년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행사의 1층 ‘탐색의 방’은 청년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의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찾도록 안내했다.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 등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선택지로 구성되어,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자신의 유형을 흥미롭게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청년들은 오롯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며 바쁜 일상 속에서 나만의 문화 취향을 수집하는 기회를 가졌다.
다음으로 ‘고민 전당포’ 코너에서는 청년들이 익명의 타인과 자신의 고민을 편안하게 나눌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다. 참여자는 자신의 생각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고, 다른 사람이 작성한 답변이 담긴 종이를 받아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작성하며, 의욕이 없는 시기를 극복하고자 했던 경험을 되짚어보게 된다. 다른 사람의 고민을 마주하는 순간, ‘나만 힘든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에서 묘한 안도감을 얻으며, 낯선 이의 답변이 곧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오는 경험을 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 활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했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각양각색의 단체들은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현장에서 즉석으로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통해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진행되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출판계 현직자들과의 만남인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서는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준 작가가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했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는 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숨죽여 듣게 될 만큼 흥미로운 시간이었으며,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은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청년문화사용법’ 행사는 각 층에서 마주한 청년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되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더욱 큰 의미를 가지며, 청년정책이 단순히 지원을 넘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아우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더 많은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는 기회가 더욱 확대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