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나, 여전히 의료기관 연계 및 병원 선정 과정에서의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연휴 동안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을 204명(60.4%) 보강했으며, 수보대를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하는 등 역량을 강화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 등을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불필요한 비응급환자에게는 가정 내에서 가능한 응급대처 방법을 안내하는 기능도 수행했다.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으로, 일평균 8022건에 달해 평시(4616건) 대비 73.8%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상담이 가장 많았던 날은 추석 당일인 6일이었으며, 주요 상담 항목으로는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았고,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당직 현황과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중증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 병원 선정 및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었다.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의 소생에 잇달아 큰 역할을 수행했다.
구체적인 사례로, 경북에서는 진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한 배뇨장애 및 의식저하 소아 환자와 장중첩증이 의심되는 소아 환자를 서울·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으로 선정하여 소방헬기를 통해 긴급 이송했다.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 이송과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으며,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함으로써 골든타임 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소방청은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을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 중에 있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더욱 지원하고, 의료기관은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후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이송체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고 밝히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