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가 10일 김성환 장관의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을 통해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 추진 현황과 산업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하며, 본격적인 청정전력 전환 정책의 시작을 알렸다. 이번 방문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가적 노력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가 이번 폐지를 결정한 배경에는 심각한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태안석탄발전 1호기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로, 2025년 12월 가동을 종료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노후 발전소를 멈추는 것을 넘어, 국가 에너지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조치이다.
발전소 폐지에 따른 인력 문제는 정부의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태안석탄 1호기 폐지로 인해 발생하는 129명의 발전 인력은 일자리 상실 없이 다른 발전소로 재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이동하며, 한전KPS, 금화PSC, 한전산업개발 등 협력업체 소속 64명은 태안 지역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이러한 인력 전환 계획은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노동자의 생계를 보호하고 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정부는 산업 현장의 안전 강화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주노총과 고용안정 협의체를, 한국노총과는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김성환 장관은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에 대해 “기후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으로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산업재해를 철저히 예방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정책적 움직임은 향후 재생에너지 중심으로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와 더불어, 기후 위기 대응과 일자리 보호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다. 이와 같은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우리는 기후 위기 극복과 동시에 안정적인 일자리 생태계를 유지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