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227개 목적지 중 199곳을 무비자로 여행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자랑하던 미국 여권이 20년 역사의 헨리 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 사상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2014년만 해도 부동의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던 미국 여권의 위상이 공동 12위로 내려앉은 것은, 말레이시아와 같은 순위에 머무르게 된 것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이러한 순위 하락은 단순히 숫자의 변화를 넘어,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과 이동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렇다면 20년 만에 처음으로 ‘세계 최강’이라는 수식어를 잃게 된 배경에는 어떤 문제가 자리하고 있는 것일까. 헨리 여권지수는 각국 여권 소지자가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목적지의 수를 기준으로 여권의 강력함을 평가하는데, 이러한 순위 변동은 국제적인 외교 관계, 국가 간 협약, 그리고 정치적 상황의 변화를 반영한다. 특히 최근 몇 년간의 국제 정세는 국경 통제 강화, 비자 정책의 변화, 그리고 특정 국가 간의 외교적 마찰 등 다양한 요인이 여권의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여권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은 이러한 복합적인 국제적 요인들이 누적된 결과로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여권의 경쟁력 약화는 향후 미국의 국제적 위상과 시민들의 해외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권의 강력함은 단순히 여행의 편리성을 넘어, 경제 활동, 학술 교류, 그리고 문화적 교류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은 잠재적으로 미국 시민들의 해외 비즈니스 기회 축소, 유학 및 연구 활동의 제약, 그리고 관광 산업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따라서 미국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고, 국가 간 협력을 증진하여 여권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시민들의 국제적 이동성을 다시 확보하기 위한 적극적인 해결책 모색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