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넘게 세계 최고의 이동성을 자랑하며 ‘입국 프리패스’로 군림해온 미국 여권이 헨리 여권지수 사상 처음으로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2014년 최상위권을 차지했던 미국 여권의 위상 추락은 단순히 숫자의 변화를 넘어, 국제 사회가 ‘힘’ 중심에서 ‘신뢰’ 중심으로 권력의 무게중심을 옮겨가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해석된다.
과거 여권의 힘은 해당 국가의 군사력과 경제력에 비례했다. 강력한 힘을 가진 국가의 국민은 더 많은 국가에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곧 국가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재 국제 사회는 ‘힘이 센 나라’보다 ‘함께 협력할 수 있는 나라’, 즉 ‘신뢰할 수 있는 나라’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국 여권은 여전히 180개국에서 통용되지만, 정작 미국이 비자 없이 입국을 허용한 국가는 46개국에 불과하다는 점은 이러한 상호 신뢰의 결핍을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국제 질서의 변화 속에서 아시아 국가들은 조용하지만 확실하게 세계로 향하는 문을 넓혀가고 있다. 싱가포르, 한국, 일본 등은 탱크나 핵무기가 아닌, 투명한 행정, 견고한 경제적 신뢰, 그리고 글로벌 협약을 충실히 이행하는 능력을 바탕으로 ‘이동성 패권’을 장악하며 세계의 문을 열고 있다. 중국 역시 10년 만에 헨리 여권지수 순위를 94위에서 64위로 끌어올리고 무비자 입국 허용국을 37개국 늘리는 등 ‘폐쇄된 대국’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개방적인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는 더 이상 국제 사회가 누가 더 강한 힘을 가졌는지보다는, 누가 더 많은 신뢰를 구축하고 있는지를 주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 행정부 이후 미국이 채택한 ‘미국 우선주의’는 결국 ‘미국 고립주의’로 귀결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정치적 고립주의는 브라질, 베트남,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미국을 무비자 대상국에서 제외하는 결과를 낳았으며, 이는 곧 외교적 고립이 이동성의 쇠퇴로 직결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 무대에서 ‘문을 닫는 나라’는 결국 ‘닫힌 문 앞에 서게 된다’는 격언처럼, 여권 순위의 하락은 외교 정책의 방향을 비추는 거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미국인들조차 ‘제2의 여권’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올해 미국인의 투자이민 신청 건수는 전년 대비 67% 증가했으며, 이는 ‘아메리칸 드림’이 ‘글로벌 드림’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필라델피아 템플대의 피터 스피로 교수가 언급했듯, ‘복수 시민권’은 이제 선택이 아닌 전략적 자산으로서 개인의 생존력을 높이는 새로운 시대의 아메리칸 드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헨리 여권지수의 순위 변화는 단순히 여행의 편리성을 나타내는 수치를 넘어선다. 이는 누가 더 많은 국가와 신뢰를 공유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관계의 증명서’로서의 여권의 역할을 강조한다. 세계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분열되는 이 시대에, 국가의 진정한 국력은 ‘문을 여는 힘’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여권이 잃은 것은 단순한 비자가 아니라, 국제 사회와의 신뢰라는 여백이다. 이제 ‘힘의 시대’는 과거가 되고 있으며, 여권은 국가의 신용등급이자 외교적 신뢰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로 작용하고 있다. 닫힌 문 앞에서 멈춰 선 미국의 사례는 한국이 ‘신뢰’를 외교의 가장 강력한 비자로 삼아야 한다는 분명한 교훈을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