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의 기준을 제시해 온 헨리 여권지수(Henley Passport Index)가 탄생한 지 2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여권이 최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과거 2014년에는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며 그 위상을 과시했던 미국 여권은 이제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로 추락했다. 이는 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방문할 때 필요한 비자 요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으로, 미국 여권의 국제적 영향력 약화를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여권 소지자들이 이전보다 더 많은 국가에서 입국 허가를 받기 위해 비자를 신청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음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별도의 비자 발급 절차 없이 자유롭게 많은 국가를 여행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이러한 장벽이 높아진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단순히 비자 정책의 변화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의 역학 관계 변화, 안보 문제에 대한 국가별 입장 강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헨리 여권지수의 순위는 해당 여권으로 무비자 또는 도착 비자만으로 방문할 수 있는 목적지의 수를 기준으로 산정된다. 따라서 미국 여권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는 것은, 미국 여권 소지자가 과거에 비해 더 많은 국가에서 사전에 비자를 받아야 하거나, 입국 시 추가적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헨리 여권지수 발표는 미국 여권의 위상이 약화되었다는 점뿐만 아니라, 글로벌 이동성과 국가 간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던진다. 미국 여권 소지자들의 해외여행 편의성이 줄어들면, 이는 상업, 외교,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으로 미국 정부가 이러한 여권 파워 약화에 대해 어떤 정책적 대응을 할지, 그리고 국제 사회의 여권 지위 변화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