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상향 조정하며, 내년에는 1.8%로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소폭 오른 수치로, 우리 경제가 잠재 성장 수준의 정상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지난 14일 발표된 IMF의 ’10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은 여러 긍정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IMF는 전반적인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높은 수치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 속에서 한국 경제 또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IMF는 세계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와 더불어,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꼽았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 변화는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내년 한국 경제가 1.8%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은 우리 경제가 어려움 속에서도 점진적으로 회복하여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IMF는 한국을 포함한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을 1.6%로 수정했으며, 내년 역시 1.6%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선진국 경제 전반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이 각각 2.0%, 2.1%로 상향 조정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을 4.2%로 전망했으며 내년에는 4.0%로 예상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 덕분에 무역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기존 전망치인 4.8%와 4.2%를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세계 경제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차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을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 개혁 노력을 가속하며 AI 도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덧붙였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 경제 역시 글로벌 경제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면밀히 주시하며 정책적 대응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