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전망치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또한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을 예측하며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이번 IMF의 전망은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한 세계 경제 전반의 개선 전망에 따른 것이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기존 전망보다 0.2%포인트 높였고, 내년 성장률은 3.1%로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 회복세는 한국 경제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IMF는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제시하며, 이는 한국 경제가 잠재 성장률 수준의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내용으로, 정부와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0.9%)와도 일치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1.0%)와 유사한 수준이다.
한편, IMF는 세계 경제의 하방 위험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할 때, IMF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은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며, 내년 한국 경제의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