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주목하는 K-문화의 근원이자 세계에서 유일하게 창제 원리와 시기가 명확히 밝혀진 문자, 한글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러한 한글의 위대함을 강조하며, 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것이 아닌, 세계인이 함께 배우고 누리는 문화 콘텐츠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는 한국어와 한글이 K-팝, K-드라마 등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문화 콘텐츠의 핵심 동력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에서 비롯된 정책적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현재 전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지만,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고 더욱 확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 총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어와 한글을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위해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는 한국어의 정확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K-문화의 매력을 더욱 깊게 전달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더 나아가,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현재보다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한글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지원하여 한글이 단순한 문자를 넘어 실질적인 문화 산업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 언어정보 자원 구축 확대는 미래 언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한글이 가진 인류애와 혁신의 정신을 바탕으로,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과 같이 세계 문맹 퇴치에 기여하는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과거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낸 민족의 정신적 버팀목으로서의 한글을 세계 속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 문화의 국제적 영향력을 강화하고, ‘초격차 K-APEC’ 구현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