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K-문화의 원천인 한글을 익히고 있는 상황에서, 한글이 더 이상 대한민국만의 문자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끌어갈 말과 글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K-문화의 중심에 한글이 있음을 강조하며, 한국어와 한글의 세계적인 확산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김 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명확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이며,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는 점을 언급하며 한글의 우수성을 재확인했다.
특히 김 총리는 한글 창제의 근본적인 배경에는 백성을 향한 세종대왕의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이 담겨 있음을 강조했다. 훈민정음 머리글에 나타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다’는 구절은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깊은 애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한글에 담긴 인류애는 유네스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수여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덧붙였다.
또한, 김 총리는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의 한국어 연구와 한글 맞춤법 기틀 마련,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으로서 한글이 지켜져 왔음을 상기시키며 선조들의 발자취를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늘날 K-팝의 노랫말,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전 세계 팬들과 감동을 공유하는 데에는 우리 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김 총리는 분석했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려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이 더 이상 낯설지 않은 현실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이에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먼저,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채로운 매체를 활용하여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에 나선다. 더불어,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알리기 위한 한글 활용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나아가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김 총리는 이번 APEC이 과거의 모든 APEC을 뛰어넘는 ‘초격차 K-APEC’이 되도록 막바지 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함께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은 한글의 세계화를 가속화하고 K-문화의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