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의 화재로 인한 전산 시스템 장애가 장기화되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13일 6시 기준으로 총 260개 시스템, 즉 36.7%가 복구되었지만, 1등급 시스템 중 75%, 2등급 시스템 중 51.5%가 여전히 장애 상태에 놓여 있다. 이는 국가의 핵심 정보 인프라가 멈추면서 발생하는 광범위한 파급 효과를 시사한다.
이번 화재로 인해 국민생활과 직결된 주요 서비스들이 마비되었던 상황이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이 복구됨에 따라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물품 검색과 구매가 온라인으로 가능해졌다. 이는 편리한 유통 경로의 복원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도 점진적으로 재개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개최하며 상황 점검에 나섰다. 회의에서는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 및 향후 복구 방안, 그리고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민원 처리 실태가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중대본은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을 기준으로 최단 기간 내 서비스 재개를 위한 복구 방식을 마련하고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화재 및 분진 피해가 심각한 7-1 전산실 등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들 지역의 시스템은 데이터 복구 이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반면, 화재 및 분진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되, 7-1 전산실과 관련된 시스템은 백업 또는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조속한 복구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하며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 불편 민원 처리 상황도 점검 결과, 화재 다음 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에 달했던 콜센터 상담 건수가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점진적인 시스템 복구와 대체 시스템 마련 등 기관들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이용 방법, 기한 연장 등에 집중되었으며,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 마련하여 국민과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해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고 있는 정부·공공기관과 민간업체 직원이 신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근무 환경을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번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는 국가 정보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으며, 향후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정보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