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높아진 한국 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이어가고,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하는 목표 아래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이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를 대표하는 여러 문학 행사들을 하나의 통합된 자리로 아우르는 행사이다. 이번 축제는 서울을 넘어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 등 다양한 장소에서 풍성한 프로그램과 함께 펼쳐지고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우리 삶의 다양한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작은 구름판이 되기를 바라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이는 바쁘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다른 이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을 통해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강연에서 작가들은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와 같은 말들을 통해 글쓰기가 곧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워 주었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글을 쓰는 행위가 결국 자기 울타리를 넘어 다른 세계와 만나는 중요한 통로임을 마음에 새기게 했다. 이 강연은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글을 읽는 독자로서도 깊은 울림을 주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아쉽게도 야외 프로그램의 일부는 예상치 못한 비로 인해 취소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스탬프 투어나 문학 퀴즈와 같은 체험은 진행되지 못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프로그램에는 참여할 수 있었다. 비록 작은 체험이었지만, 직접 찍어낸 귀여운 주황색 고양이 그림 책갈피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만한 소중한 기념품이 되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속 문학 축제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전국 각지의 도서관, 서점, 문학관에서는 다채로운 전시와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유명 작가들을 초청하는 행사, 흥미로운 토크와 낭독 무대, 그리고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행사가 연이어 펼쳐지고 있다.
특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5 고양독서대전’이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 오는 10월 개최될 예정이다. 더불어 9월 독서의 달을 맞이하여 지역 도서관 곳곳에서도 다양한 연계 행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프로그램에 6월까지 꾸준히 참여했던 필자는 여름 동안 잠시 숨을 고르다가, 가을을 맞아 다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대한민국 문학축제’를 계기로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문학은 단순히 책장 속에 머무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가 함께 읽고, 만나고, 쓰며 즐길 때 비로소 더 큰 힘을 발휘하게 된다. 이번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전국 각지의 시민들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더 많이 참여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며,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는 풍요로운 시간을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