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 ‘청년의 날’은 청년들의 권리 증진과 자립, 그리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법정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나, 많은 청년들은 그 의미와 참여 방법을 몰라 망설이곤 한다. 딱딱하고 형식적인 행사들만 열릴 것이라는 선입견도 존재한다. 하지만 막상 관련 행사 정보를 살펴보면, 진로, 창업, 문화, 심리, 관계, 자기 계발 등 청년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고민할 만한 실질적인 주제들을 다루는 프로그램이 의외로 풍성하게 준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청년의 날 행사에 대한 정보 접근성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현재 관련 정보는 각 지방자치단체 누리집의 ‘청년정책’ 또는 ‘청년센터’ 메뉴를 통해 얻거나, 지자체 인스타그램 등 공식 SNS 계정을 구독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청년몽땅정보통’ 누리집에서 ‘청년의 날’을 검색하거나 ‘청년의 날 + 지역명’을 조합하여 검색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올해의 경우,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적으로 ‘청년주간’이 운영되며, 서울 은평구에서 열린 ‘은평청년톡톡콘서트’의 김태호 PD 강연, 순천의 <청년의 날 X 주말의 광장> 행사, 안성시 <안성청년 쉴래말래?> 축제 등 지역별 특색을 살린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은평청년톡톡콘서트’에 참여한 유명 PD 김태호의 강연은 미디어 분야에 관심 있는 청년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9월 18일, 평일 저녁임에도 불구하고 <무한도전>, <놀면 뭐하니?> 등을 연출한 김태호 PD의 강연을 듣기 위해 많은 청년이 객석을 가득 메웠다. 강연의 핵심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플랫폼의 다양화에 맞춰 콘텐츠를 기획하고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인사이트였다. 이는 PD뿐만 아니라 기자, 작가, 크리에이터 등 언론·미디어 분야를 준비하는 많은 청년들에게 공감을 얻었으며, 함께 웃고 고개를 끄덕이는 등 적극적인 소통의 장이 되었다. 더 나아가, 이번 강연은 수어 통역을 제공하여 정보 접근성의 평등을 실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고, 이는 다양한 청년들이 행사에 더욱 의미 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행사는 진로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거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주눅이 들 때, 자신이 진정으로 무엇을 좋아하고 왜 그 일을 하고 싶은지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게 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작년 ‘위라클’ 유튜브 채널 운영자 박위의 강연에서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고 자신만의 미디어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영감을 얻었던 경험처럼, 청년의 날은 청년들에게 잠시 멈춰 자신을 성찰하고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을 선사한다.
결론적으로, 청년의 날은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지역별로 특색 있게 개최되는 다채로운 행사와 강연 참여를 통해 청년들이 자신의 관심 분야를 탐색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으며, 긍정적인 추억을 쌓아갈 수 있는 가능성의 장이다. 진로에 대한 고민이 깊거나 새로운 자극을 갈망하는 청년이라면, 다가오는 청년의 날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에게 맞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찾아 듣고 체험하는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