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제시했던 전망치를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한국 경제가 일정 수준의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더 나아가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로 예측하며, 이러한 전망치는 한국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IMF가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전 세계 경제 성장률 역시 올해 3.2%로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2%p 상향 조정되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4.2%로 전망이 높아졌다. 이러한 거시 경제 환경은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IMF는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의 배경으로 여러 요인을 꼽고 있다.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 등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이 높아진 점,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우리나라 경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국제적인 경제 환경 속에서 한국 경제가 0.9%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내년에는 1.8%로 더욱 견조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은 그간의 경기 둔화 우려를 일부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AI 산업의 과도한 낙관론과 그로 인한 자산 가치 조정 가능성에 대한 경고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만약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경제의 회복 경로에도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의 이번 성장률 전망은 한국 경제가 어려움 속에서도 회복의 발판을 마련하고 내년에는 보다 나은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