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미국 여권이 헨리 여권지수 발표 20년 역사상 처음으로 최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나며 국제 사회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2014년 최강대국으로서 부동의 1위를 지켰던 위상이 현재 말레이시아와 공동 12위로 하락한 것은 단순한 순위 변동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는 과거 군사력과 경제력이라는 ‘힘’의 논리가 지배하던 시대에서 벗어나, 이제는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가 도래했음을 시사한다.
과거 국제 사회에서 여권의 힘은 종종 국가의 군사력과 경제적 영향력의 그림자로 작용했다. 강대국의 국적을 가졌다는 사실만으로도 많은 국가에서 비자 없이 입국이 허용되는 ‘힘의 외교’가 통용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여권이 여전히 180개국에서 통용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타국에 비자 면제 혜택을 제공하는 국가는 46개국에 불과하다는 점은 이러한 힘의 비대칭성이 상호 신뢰의 부족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즉, ‘힘’으로 열리던 문이 점차 닫히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다.
반면, 싱가포르, 한국, 일본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은 탱크나 핵무기가 아닌 투명한 행정, 경제적 신뢰, 글로벌 협약 이행 능력 등을 바탕으로 ‘신뢰’를 구축하며 국제 사회에서의 이동성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들 국가는 헨리 여권지수에서 최상위권을 차지하며 ‘이동성 패권’을 장악했으며, 특히 중국 또한 10년 만에 헨리 여권지수 순위가 94위에서 64위로 상승하고 무비자 입국 허용국이 37개국 증가하는 등 놀라운 속도로 국제 사회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이제 국제 사회가 ‘누가 더 힘이 센가’보다는 ‘누가 더 많은 신뢰를 쌓고 있는가’를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음을 증명한다.
미국의 최근 몇 년간의 고립주의 정책, 특히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는 ‘미국 고립주의(America Alone)’라는 결과로 이어지며 국제 사회에서의 신뢰를 약화시켰다. 이러한 외교적 고립은 브라질, 베트남,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이 미국을 무비자 대상국에서 제외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곧 미국 여권의 위상 하락이라는 실질적인 결과로 돌아왔다. 국제 무대에서 ‘문을 닫는 나라’는 결국 ‘닫힌 문 앞에 서게 된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인들 사이에서도 ‘제2의 여권’을 찾으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올해 미국인의 투자 이민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67% 증가한 것은 ‘아메리칸 드림’이 ‘글로벌 드림’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필라델피아 템플대의 피터 스피로 교수가 언급했듯, 복수 시민권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전략적 자산이 되었으며, 국적은 출생의 결과가 아닌 ‘이동성’이라는 생존력과 직결되는 시대가 도래했다.
결론적으로, 헨리 여권지수의 변화는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아니다. 이는 누가 더 많은 나라와 ‘신뢰’를 공유하는지에 대한 질문이며, ‘문을 여는 힘’이 새로운 국력의 척도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미국의 여권이 잃은 것은 비자가 아니라 그동안 쌓아왔던 신뢰의 여백이며, 힘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 여권은 국가의 신용등급이자 외교적 신뢰를 증명하는 가장 강력한 비자가 되었다. 닫힌 문 앞에 선 미국의 모습은 국제 사회에서 신뢰 구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이는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분명한 교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