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다수의 행정정보시스템이 중단되면서 국민들의 불편과 행정 공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중대본회의를 열어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정상화를 위한 대응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번 화재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 마비로 인한 국민들의 행정 서비스 이용 제한이다. 특히, 명절 연휴를 앞두고 긴급 상황 발생 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의 중요한 기록을 보존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중단은 큰 우려를 낳았다. 또한,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의 온라인 상담 창구 역시 이용이 어려워져 민원 처리에도 차질이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행정안전부는 복구 속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솔루션을 추진하고 있다. 9월 2일 오전 6시 기준으로 총 110개의 시스템 복구가 완료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으며, 특히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기록포털의 정상화는 국민들의 안전 확보와 정보 접근성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복구 작업을 가속화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으며, 예비비까지 확보하여 복구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른 대체 수단 제공을 병행하고 있으며,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 조치도 강화하고 있다. 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복구 단축 방안을 논의했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는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힘을 싣고 있다. 국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수수료 감면 지원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지원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과거에 활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는 방안도 마련되었다.
이번 복구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정상화된다면, 국가 행정 시스템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국민들이 필수적인 행정 서비스를 차질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앞으로 국가 정보관리시스템 전반에 대한 전수 점검을 통해 근본적인 재설계를 추진하고,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며 대체 서비스 마련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행정 시스템 마비로 인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행정 서비스 제공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