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가 점차 복구되고 있으나, 국민 생활 및 공공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야기하며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13일 6시 기준으로 총 260개 시스템, 즉 36.7%의 시스템이 복구되었으나, 여전히 상당수의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1등급 시스템 30개(75%), 2등급 시스템 35개(51.5%) 복구를 포함한 수치로, 복구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핵심 서비스 정상화에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스템 장애는 국민과 공공기관의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의 복구가 완료되면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물품 검색 및 구매가 온라인으로 가능해졌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또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 예탁금 납부, 이용자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서비스도 재개되어 불편이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그러나 전체 복구율을 고려할 때, 아직까지 많은 국민들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한 7-1 전산실 등에서는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추진하는 등 복구 방안을 다각화하고 있다. 화재·분진 영향이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히 시스템을 복구하고, 7-1 전산실 관련 시스템은 백업 또는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여건에 맞는 조속한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에 더해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하며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이번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해 발생한 민원 처리 상황 역시 점검 대상에 올랐다. 화재 다음날인 9월 30일 2700여 건이 접수되었던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 일일 300건 내외로 줄어들었으나, 주요 상담 내용이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 국민 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각 기관은 대체 시스템 마련 등 현장의 애로사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하여 이러한 복구 현황과 민원 처리 실태를 점검하고,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추진하여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복구에 매달리는 직원들의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챙기겠다는 입장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