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높아진 우리 문학에 대한 관심이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국민 속으로 확산시키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자리이다.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유수의 문학 행사들을 하나로 묶어낸 통합 행사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단순히 서울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동시에 펼쳐지며 문학이 특정 장소에 국한된 문화가 아닌, 우리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 참여한 경험은 이러한 흐름을 더욱 명확히 실감하게 했다.
올해 문학주간은 ‘도움―닿기’라는 주제 아래, 문학이 우리 삶의 내면에 드리워진 균열을 비추고, 나아가 서로의 삶에 닿을 수 있는 징검다리가 되기를 바라는 깊은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바쁘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숨을 고르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자는 취지였다. 특히 강연에서 다뤄진 ‘글쓰기에 필요한 태도’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은 참석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말은 글쓰기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임을 일깨웠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내는 현실적인 충고로 다가왔다. 이처럼 글을 쓰는 행위는 결국 자신의 울타리를 넘어 타 세계와 만나는 통로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는 글을 쓰는 사람뿐만 아니라, 글을 읽는 독자로서도 타인의 삶과 내면에 깊이 닿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문학의 가치를 체험하는 프로그램들도 주목할 만하다. 비로 인해 일부 야외 프로그램이 취소되는 아쉬움도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 같은 작은 체험은 참여자들에게 오래 기억될 소중한 경험을 선사했다. 이는 문학이 지닌 정서적 치유의 힘이 구체적인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성을 넘어, 전국 곳곳에서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문학을 즐길 수 있는 생활형 축제로서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도서관, 서점, 문학관 등지에서 열리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은 물론,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및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다채로운 문화 일정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2025 고양독서대전’과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 열리는 연계 행사들은 문학이 지역사회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과 연계하여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열리는 북토크, 공연, 전시 등의 프로그램은 문학이 책장을 넘어 우리 삶과 적극적으로 교감하는 장이 되고 있음을 증명한다. 문학은 단순히 책 속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즐길 때 비로소 그 진정한 힘을 발휘한다. 이번 축제가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며 연대와 치유의 가치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