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에서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이라는 절박한 문제가 지역 관광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로의 도약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결과 지역 곳곳에서 매력적인 행사들이 열리고 있다.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는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사업은 중앙 정부 주도의 일률적인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당면한 관광 서비스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도록 지원하며, 이를 통해 지역 관광 서비스의 품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지역 주도형 관광 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는 영덕문화관광재단에서 추진하는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이다. 대형 산불 참사 이후 침체된 지역 관광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기획된 이 사업은, 줄어든 외지 관광객을 다시 영덕 블루로드로 이끌기 위한 가성비 높은 여행 체험을 제공한다.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이라는 두 가지 테마 코스를 통해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방문객의 취향에 맞춘 다양한 관광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관광의 매력을 재조명하고 있다.
또한, 완주문화재단 역시 스쳐 지나가는 관광지가 아닌,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담은 미식 체험형 프로그램을 현재 준비 중에 있다. 영덕군과 완주군을 포함한 총 6곳의 지역(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이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각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새로운 관광 방식 설계에 힘쓰고 있다.
특히, 군산문화관광재단은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옛 군산항 여객터미널을 20년 만에 복합문화공간인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로 새롭게 탄생시켰다. 과거 군산항 여객터미널로 사용되었던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으로 조성한 것이다. 지난 30일 진행된 개관 행사에는 많은 시민과 관광객이 참여하여 군산항의 복고적인 매력을 만끽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했으며,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군산 내항과 동백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옥상 공간에서는 개관 기념 연극,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미션 스탬프 투어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졌다.
이처럼 ‘2025년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지역 고유의 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관광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침체된 지역 관광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처럼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는 공간이 현대적인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하거나, 영덕의 블루로드 트레킹과 완주의 미식 체험처럼 지역의 매력을 깊이 있게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는 것은 이러한 사업의 성공적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곳곳에서 지역의 문화적 변화를 직접 체감하고 이러한 매력적인 공간과 체험으로 변화된 관광 서비스를 즐기는 것이야말로, 지역 소멸 위기에 맞서는 효과적인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