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히 심화하는 기후 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에 새로운 도전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대형 화재와 붕괴 사고 등 복합적인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기존의 재난 대응 체계로는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 차원의 근본적인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보여준다.
정부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의 핵심 동력으로 삼고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해 왔다. 이러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소방청은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복합 재난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조직 혁신의 일환이다.
새롭게 개편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나아가, 소방 정책 전반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관련 기술 지원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장비 도입을 넘어,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난 예측 및 대응 능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반영한다.
이러한 개편을 통해 소방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 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미래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는 소방청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