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한 달간 진행된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막대한 매출을 기록하며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는 단순한 소비 진작을 넘어 소상공인들의 실질적인 매출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음을 보여준다. 이번 동행축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매전을 비롯해 온누리상품권 및 지역사랑상품권 판매 촉진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내수 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했다.
이번 행사의 성공 뒤에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함께 전국적인 연계 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가 효과적으로 추진된 점이 주효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며 6307억 원이라는 압도적인 매출을 달성했다.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가 13배(6200만 원)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소비 회복 분위기를 확산시켰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라는 목표 아래,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높여(비수도권 76%, 인구감소지역 24%)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집중했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막식(8월 30일~9월 5일)에는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서는 제주지역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해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이 중 8개 업체는 첫날 완판하는 기염을 토했다.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판매전은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 마련에 기여했다.
또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도 눈길을 끌었다.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하며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7개 TV홈쇼핑사는 상생기획전, 경품 이벤트, 적립금 추가 적립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며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에 힘썼다. 7개 카드사 또한 백년가게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이용 고객에게 캐시백 및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골목상권 활성화에 앞장섰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 포장 주문 할인쿠폰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쿠폰을 제공하며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가 소상공인에게 희망의 불씨가 되고 경제에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개최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동행축제의 성공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결합될 때 내수 시장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