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라는 거대한 도전 앞에서 에너지 정책의 근본적인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석탄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청정 전력으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10일 김성환 장관이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를 방문하여 이 중요한 전환이 현실적인 어려움 없이 진행될 수 있는지, 그 배경에는 어떤 문제들이 놓여 있는지를 점검했다.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은 단순히 노후 발전 설비의 폐지 현황을 살피는 것을 넘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청정 전력 전환 정책이 진정한 ‘해결’이 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태안석탄 1호기의 오는 12월 가동 종료는 새 정부의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로서,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자리 문제와 산업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발전소 폐지에 따른 인력 재배치 계획이 일자리 상실 없는 전환을 담보할 수 있을지가 핵심적인 문제로 떠오른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발전소 폐지에 따른 인력을 다른 발전소로 재배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부발전 본사 소속 129명의 발전 인력 중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이동하며, 협력업체 소속 64명은 태안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이는 발전소 폐지가 곧 일자리 상실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고,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생계 안정을 도모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지난 6월 2일 발생한 고 김충현 씨의 산업재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한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 또한 병행되고 있다. 정부는 민주노총과 고용안정 협의체, 한국노총과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구성하여 현장의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
김성환 장관은 이번 방문을 통해 이러한 노력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일자리를 반드시 지키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일자리 문제와 산업 안전이라는 두 가지 주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석탄발전소 폐지는 단순한 에너지 정책의 변화를 넘어, 노동자와 지역 사회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정의로운 전환’으로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의 철저한 산업재해 예방 노력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정부의 약속을 이행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