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청정 전력으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정부가 노후 석탄발전소 폐지를 본격화하며 기후 위기 대응과 전력 시스템 전환이라는 이중의 난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지난 10일, 김성환 장관이 서부발전 태안석탄발전소를 방문하여 노후 석탄발전기 폐지 추진 현황과 산업 안전 관리 실태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단순한 현장 점검을 넘어,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청정 전력 전환 정책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충남 태안군에 위치한 태안석탄 1호기가 새 정부의 첫 석탄발전 폐지 사례로 오는 12월 가동을 종료할 예정이다. 이는 탄소 배출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석탄 발전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행보다. 하지만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세심한 노력이 뒤따르고 있다. 특히 발전소 폐지로 인한 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인력들이 다른 발전소로 재배치되어 일자리를 잃지 않도록 하는 ‘일자리 상실 없는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구체적으로, 태안석탄 1호기에서 근무하는 129명의 발전 인력 중 서부발전 본사 소속 65명은 구미 천연가스 발전소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또한, 한국서부발전의 협력업체인 한전KPS, 금화PSC, 한전산업개발 소속 64명의 인력은 태안 지역 내 다른 석탄발전기로 재배치될 계획이다. 이러한 인력 재배치 계획은 발전소 폐지라는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도 노동자들이 겪을 수 있는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고용 유지를 통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보여준다.
더불어, 정부는 발전소 운영 및 폐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 재해 예방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6월 2일 발생했던 고 김충현 씨의 안타까운 산업 재해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강력한 안전 강화 대책을 병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정부는 민주노총과 고용 안정 협의체를, 한국노총과는 정의로운 전환 협의체를 각각 구성하여 현장 안전 강화와 노동자 보호를 위한 노사정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넘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실질적인 안전 시스템 구축을 통해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반영한다.
김성환 장관은 이번 태안석탄발전소 방문을 두고 “기후 위기에 대응한 녹색 대전환의 신호탄이자 정의로운 전환으로 일자리도 반드시 지킬 것이라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알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산업 재해를 철저히 예방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기후 위기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과 경제적 어려움을 최소화하려는 ‘정의로운 전환’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앞으로 태안석탄 1호기의 폐지와 인력 재배치, 그리고 강화된 안전 관리 대책이 순조롭게 이행된다면, 한국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