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민들의 카드 소비가 증가하면서 실질적인 가계 부담 완화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민생회복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상생페이백’ 제도를 도입하며, 특정 기간 동안 늘어난 카드 소비액에 대해 최대 30만 원까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소비를 장려하는 것을 넘어, 늘어난 지출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지역 상권 활성화에도 기여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상생페이백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의 카드 소비액보다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더 많이 소비한 국민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증가한 소비액의 20%까지 환급되며,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총 30만 원 한도에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된다. 이 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지급일로부터 5년간 유효하다. 신청 자격은 2024년도에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가능하다.
이 제도의 배경에는 고물가 시대에 늘어나는 가계 지출에 대한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시키고, 동시에 내수 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내려는 정부의 고민이 담겨 있다. 특히, 소비 증가분을 직접적으로 환급해주는 방식을 통해 국민들의 체감도를 높이고, 환급된 온누리상품권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에게 직접적으로 사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신청 방법은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 신청하면 된다. 다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 및 가입이 필요하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월) 9시부터 11월 30일(일) 24시까지이며, 9월 20일(토)부터는 5부제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소비액 산정 시 제외되는 항목으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형마트 및 백화점, 온라인몰, 명품 전문 매장, 해외 사용 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생페이백의 취지에 맞춰 가급적 동네 상권 위주로 현장 결제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생페이백을 통해 환급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다양한 곳에서 활용될 수 있다. 10월 15일(수)부터 첫 환급이 시작되며, 온누리시장과 같은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식료품은 물론 가전, 생활용품까지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배달앱 ‘땡겨요’에서도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하여 소상공인을 위한 플랫폼에서의 소비도 지원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폭넓은 사용처를 제공함으로써 상품권의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정책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상생페이백 제도는 늘어난 카드 소비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의 가계 부담을 줄여주는 동시에, 소비가 지역 상권으로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실질적인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소비자들이 자신의 소비 패턴을 점검하고, 인정되는 사용처 위주로 결제하는 습관을 갖는다면 더욱 많은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생페이백을 통한 지역 소비 활성화는 우리 사회 전반의 상생 가치를 실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