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서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 주무관의 글은 공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이는 단순히 공무원 채용 시험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하지만, 곧 이어지는 내용은 시험 응시 당시의 열정적인 마음과 현재 민원 업무를 수행하며 느끼는 현실적인 어려움 사이의 간극을 드러낸다. 특히, 7년 전 공무원 시험에 합격했을 당시 “처음의 마음을 잊지 않는 공무원이 되고 싶다”는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말이었는지 뒤늦게 깨닫는 과정은 많은 공직자들이 겪을 법한 보편적인 고민을 보여준다.
이러한 개인적인 고뇌는 곧 공무원이라는 직책의 본질적인 역할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민원 업무를 통해 매일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지만, 대다수는 잠시 스쳐 지나가는 존재일 뿐이다. 출생신고를 받으며 훈훈함을 느끼거나 사망신고를 받으며 슬픔을 공유하는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에 대한 마음과 감정이 무너져감을 느꼈다고 고백한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산불 근무와 같은 예상치 못한 경험을 통해 공무원으로서의 사명감을 다시금 되새기게 된다.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서 주민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지를 전달하고, 유관기관의 성금 기부 행렬 속에서 지역사회의 상호 부조를 실감하며 공무원의 역할을 다시금 생각하게 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김 주무관은 7년간의 공직 생활을 통해 공무원을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로 정의한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나아가 서로 돕고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역할을 내어주는 존재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나아가듯 느꼈던 공직 생활이 이제는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로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공무원이 단순히 민원 서류를 처리하는 행정 담당자를 넘어, 지역사회의 발전과 주민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튼튼한 다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