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직면한 가장 무거운 과제 중 하나는 바로 치매다. ‘치매’라는 단어는 우리 마음을 무겁게 할 뿐 아니라, 급속한 고령화 속에서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2025년 현재, 97만여 명에 달하는 치매 환자가 있으며, 이는 20년 후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통계는 치매가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전체가 나서야 할 시급한 문제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2011년 「치매관리법」 제정을 통해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노력해왔으나, 2025년 제18회를 맞이한 ‘치매극복의 날’은 이러한 국가적 노력이 더욱 절실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치매 문제에 대한 국가적 해결책 마련의 일환으로, 전국 256곳에 설치된 지역 거점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리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은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사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치매 환자뿐만 아니라 그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까지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이다.
이에 발맞춰 지난 9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기념하여 전국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인식 개선 및 예방, 극복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었다. 필자가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시민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가 열렸다. 특히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는 지역 상품권이라는 상품이 걸려 있어 많은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었으며, 수상작들을 통해 치매에 대한 재치와 유머, 그리고 깊은 감동과 공감을 느낄 수 있었다. “치매, 혼자는 두렵지만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은 치매 극복을 위한 공동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
이러한 인식 개선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지난 9월 13일 지역도서관에서 열린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는 치매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와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100여 명의 시민, 특히 60대 이상의 참가자들이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지역 공공병원 협력 의사는 치매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는 강연을 진행했다. 많은 사람들이 드라마 등에서 접하는 치매는 사건·사고를 일으키는 심한 치매이며, 실제로는 가벼운 치매가 더 많고 약물 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설명은 참가자들의 인식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또한, 치매 진행 과정에서 시간, 장소, 사람 순서로 인지 능력이 저하된다는 점, 치매가 암보다 흔하다는 사실, 그리고 건망증과의 차이점(힌트를 주면 기억이 떠오르는 건망증과 달리 치매는 시간이 지나도 악화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는 점) 등에 대한 설명은 치매를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련 상담 및 조기 검진뿐만 아니라, 치매 환자로 등록 시 치료 관리비까지 지원하는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따라서 내 가족이 치매를 의심하게 된다면, 당황하지 말고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최우선으로 방문해야 한다. 치매라는 거대한 파고 앞에서 개인은 혼자 두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치매안심센터라는 든든한 버팀목과 함께라면 충분히 극복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은 치매 없는 대한민국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