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인 추석 연휴가 다가오면서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증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명절 기간 동안 평소보다 풍성하게 차리는 음식으로 인해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환경공단이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나선다.
이번 캠페인은 음식물 쓰레기가 평소보다 늘어나는 추석 연휴 기간에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 정착을 유도하고자 마련되었다. 핵심은 무선인식(RFID) 종량기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감량하는 세대를 추첨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참여 방법은 행사 포스터의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하루 평균 음식물 쓰레기는 1만 4천여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한다. 또한, 음식물의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되면서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은 명절 기간에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본 캠페인은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의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한다. 이를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해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RFID 종량제는 배출한 쓰레기 무게만큼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이미 많은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데 효과를 보고 있다. 실제로 RFID 배출기를 사용하면서 배출량이 줄어든 가구에서는 쓰레기 배출량을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함께 낭비 줄이기 노력을 의식하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지난 3년간 명절 연휴에 RFID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결과, 무려 6,200톤의 쓰레기가 감량되었다. 한국환경공단은 이번 추석 연휴에도 많은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하여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감소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기를 기대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장 보러 가기 전 미리 구매 목록을 작성하고 냉장고 재고를 확인하여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줄이는 것이 첫걸음이다. 또한, 남은 음식은 볶음밥이나 샐러드와 같이 다양한 요리로 재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모인다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확실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추석 기간이 지나더라도 이러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