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명절은 늘 그리운 가족들과 함께 맛있는 음식을 나누는 즐거운 시간이다. 하지만 이러한 명절의 이면에는 평소보다 훨씬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명절 기간 동안 ‘먹을 만큼만 적당히 만들어 남김없이 먹자’는 암묵적인 규칙마저 깨지기 십상이기에,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환경공단이 추석 연휴를 맞아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위한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행사를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2주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명절 연휴 기간에 급증하는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음식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 마련되었다. 캠페인 참여는 무선인식(RFID) 종량기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행사 포스터에 첨부된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신청할 수 있다. 이 캠페인은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기대하게 한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1만 4천여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한다. 더 나아가 음식물의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되면서 연간 20조 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고 하니,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불필요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캠페인의 구체적인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통해 10월 1일부터 14일까지의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하고,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감량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하여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미 RFID 배출기를 사용하며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감소 효과를 경험한 바 있는 참여자들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쓰레기 감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일반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며 정확한 배출량 파악이 어려웠던 것에 반해, RFID 태그가 부착된 전용 기기를 사용하면 버리는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만큼의 수수료를 부과받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배출량을 의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역별 1kg당 63원의 배출 요금이 부과되는 시스템 하에서, 캠페인 참여 세대는 명절 연휴임에도 불구하고 평소 160원 정도에서 120원 정도로 수수료를 절감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지난 3년간 명절 연휴에 진행된 유사 캠페인을 통해 무려 6,2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환경공단은 이번 추석 연휴에도 많은 가정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캠페인 참여는 단순히 명절 기간에 국한되지 않고, 지속적인 음식물 쓰레기 감량 노력을 이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공단 측은 생활 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실질적인 방법들도 함께 제시했다. 첫째, 장을 보러 가기 전 구매 목록을 미리 작성하고 냉장고 재고를 확인하여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남은 음식을 다양하게 재활용하여 볶음밥이나 샐러드와 같은 건강한 요리로 재탄생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모인다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감소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는 곧 환경 보호와 경제적 이익 증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