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도시는 단순히 문화예술 행사를 개최하는 것을 넘어,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의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도시 사업의 실질적인 성과와 시민들의 체감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존재한다. 특히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민들이 해당 사업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지역에 특별한 변화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문화도시 사업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025 문화도시 박람회>가 마련되었다. 이번 박람회에는 총 37개의 문화도시가 참여하여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도시 사업 성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공유했다. 특히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화도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구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달성문화교실, 문화달성미래포럼, 청년축제 ‘위터스플래쉬’ 등 세대별 맞춤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생태계를 구축하고 시민 참여를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유휴공간을 예술가의 창작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노력이나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상품 개발 노력 또한 문화도시의 중요한 역할로 볼 수 있다.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춰 칠곡로컬팜투어, 우리 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칠곡인문학마을축제 등 주민들이 함께 어울리며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러한 구체적인 사업 사례들은 문화도시가 단순히 행사를 넘어 지역 사회의 문제 해결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박람회 참여를 통해 문화도시 사업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경우, 지역은 특색 있는 정체성을 확보하고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시민들이 주체가 되는 문화 프로그램과 지역 고유의 문화를 활용한 사업은 젊은 세대의 유입을 촉진하고 지역에 대한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다. 또한, 문화도시 박람회와 같은 교류의 장은 각 지역이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하며 더 나은 문화도시 모델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앞으로 문화도시 사업이 시민들의 작은 관심과 참여를 바탕으로 더욱 풍요로운 지역 사회를 만들어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