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심각한 환경 문제와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던 부천 삼정동 쓰레기 소각장이 33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복합문화예술공간 ‘부천아트벙커B39’로 새롭게 태어났다. 이는 단순히 오래된 건물을 재활용한 것을 넘어, 과거의 오점이었던 쓰레기 소각장이 미래의 문화 자원으로 탈바꿈하는 도시 재생의 성공 사례를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가난과 허기를 이겨낸 지혜의 음식이 일상이자 별식이 되었듯, 버려질 위기에서 가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는 ‘오래 견뎌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부천아트벙커B39는 1992년 부천 중동 신도시 건설과 함께 계획되어 1995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 쓰레기 소각장이었다. 하루 200톤에 달하는 서울과 수도권의 쓰레기를 처리하며 도시의 위생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듯했으나, 1997년 환경부 조사 결과 허가 기준치의 20배에 달하는 고농도 다이옥신이 검출되면서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존재로 전락했다. 마을 주민들과 환경 운동가들은 소각장 폐쇄를 요구하며 강력한 운동을 벌였고, 결국 2010년 대장동 소각장으로 기능이 이전되면서 삼정동 소각장은 10여 년간의 가동을 중단하게 되었다. 한때 도시의 기능을 지원했던 이 폐산업시설은 그대로 철거될 운명에 놓이는 듯했다.
그러나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선정되면서 이 폐소각장은 전혀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2018년, 과거 쓰레기를 태우던 거대한 굴뚝과 소각로는 이제 하늘과 채광을 가득 끌어들이는 ‘에어갤러리(AIR GALLERY)’로 변모했다. 지하 깊숙한 곳에 자리한 쓰레기 저장고였던 ‘벙커(BANKER)’는 ‘B39’라는 이름의 모티브가 되어, 현재는 회색빛 압도적인 공간으로 방문객을 맞이한다. 또한, 쓰레기 수거 트럭이 쓰레기를 쏟아내던 쓰레기 반입실은 멀티미디어홀(MMH)로, 펌프실, 배기가스처리장, 중앙청소실 등 기존의 거대한 설비들은 아카이빙실과 전시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특히 ‘RE:boot 아트벙커B39 아카이브展’은 다이옥신 파동과 시민운동, 그리고 이 소각장이 문화예술공간으로 변모하기까지의 눈물겹도록 생생한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며 깊은 감동과 여운을 선사한다.
이러한 폐산업시설의 성공적인 문화 공간 전환과 더불어, 과거 개발도상국의 애환이 담긴 음식이자 이제는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감자탕’ 또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품고 있다. 부천 원미동, ‘조마루사거리’에는 ‘청기와뼈다귀해장국’과 ‘조마루뼈다귀해장국’의 본점이 마주 보고 있으며, 이 감자탕과 뼈다귀해장국은 인천 미군 부대에서 나온 돼지 뼈다귀에서 비롯된 음식이다. 정확한 어원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감자가 있든 없든 저렴한 가격으로 소주 한 잔을 곁들일 수 있는 서민들의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수입 돼지고기 사용으로 뼈다귀에 붙은 살이 더욱 풍성해져, 시대에 역행하는 가격으로 푸짐함을 제공한다. 깍두기, 양파, 청양고추 등 기본적인 반찬조차 신선하고 맛깔스러우며, 뚝배기에서 팔팔 끓여 나오는 뼈다귀해장국의 깊고 시원한 국물 맛은 산해진미 부럽지 않은 감동을 선사한다. 외국인들까지 K-푸드의 매력으로 빠져들게 하는 감자탕은, 단순히 허기를 채우는 음식을 넘어 가난과 허기를 이겨낸 지혜의 산물로서 우리의 일상이자 별식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부천아트벙커B39의 폐소각장 재생 사례와 감자탕이라는 음식의 이야기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 과거의 문제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도시 재생의 힘, 그리고 어려운 시절을 헤쳐나온 사람들의 삶의 지혜가 담긴 음식이 어떻게 문화적으로 승화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는 쓰레기 처리장이 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재탄생하는 것처럼, 어떤 어려움이나 부정적인 이미지도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증명한다. 결국, 오래 견디고 볼 일이라는 말처럼, 끈기와 지혜가 있다면 어떠한 것도 새롭게 태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