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시기, 우리는 굽이진 길을 올라 철조망과 경비초소, 경고문들을 지나치며 ‘휴전국’임을 다시금 상기하게 되는 오두산 통일전망대를 찾았다. 푸른 하늘 아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망원경으로 북한 땅을 바라볼 수 있다는 사실은, 단순히 가을 나들이를 넘어선 ‘안보 견학’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곳에서 마주한 분단의 현실은 더 이상 나와 무관한 먼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을 생생하게 느끼게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1층과 2층에 분단 역사를 되짚어보고 현재를 짚으며 통일의 미래를 제시하는 전시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1년에 2~3차례 진행되는 특별 기획전시 또한 빼놓을 수 없다. 특히 2층에 마련된 ‘그리운 내 고향’ 전시는 실향민들이 그린 북에 두고 온 고향 그림 5,000여 점을 통해 그들의 애틋한 마음을 고스란히 전한다. 3층으로 올라가는 길목에는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통일의 피아노’가 자리하고 있다. 이 피아노는 분단의 상징인 DMZ 철조망을 현으로 사용하여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깊은 울림을 준다. 전시실 곳곳에는 분단의 역사, 6.25 전쟁 자료, 남북 교류 관련 전시가 소개되어 있으며, 영상실에서는 통일 교육 관련 다큐멘터리가 상영된다.
야외 전망대에서는 개성 시내와 북한 마을의 논밭, 건물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망원경을 통해 바라보면 멀리 떨어진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불과 몇 킬로미터밖에 되지 않는 가까운 거리다. 맑은 날씨에는 개성 시내, 개풍군 마을 일대, 그리고 북한 주민들의 생활 모습까지 관찰할 수 있어 북한을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망대 중 하나로 꼽힌다. 서울 도심에서 약 한 시간 남짓이면 도착하는 뛰어난 접근성을 자랑하며, 연간 약 100만 명이 방문할 정도로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안보 견학지이다. 이곳에서 우리는 ‘가깝지만 먼 나라’의 현실을 직시하게 된다.
이처럼 오두산 통일전망대는 단순한 나들이 장소를 넘어, 분단의 현실과 통일의 가능성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살아있는 현장이다. 이러한 경험은 최근 발표된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이 보여주는 변화와 맞닿아 있다. 2026년 통일부 예산은 지난해 대비 약 20% 이상 증액된 1조 2,378억 원 규모로, 남북협력기금 역시 1조 25억 원으로 확대되었다. 이는 인도적 지원, 경제 협력 사업, 문화 교류 및 국민 공감 프로젝트 등에 집중될 예정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체험 사업, 민간 통일운동, 통일 문화 교육 등이 예산안에 새롭게 포함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국민들이 통일 관련 정책을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느끼고 경험하는’ 기회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예산은 인도적 문제 해결(약 6,810억 원), 경제협력 기반 조성, 사회문화 교류, 국민 공감 확대 등의 분야에 배분된다.
국민 공감 사업은 오두산 통일전망대나 DMZ 탐방과 같은 현장 체험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제로 오두산 통일전망대 이용객은 DMZ 생생누리 방문 시 입장료의 반액 할인을 받을 수 있는 ‘DMZ 연계할인’ 혜택도 제공된다. 즉, 정부 예산은 국민들이 통일 문제를 ‘체험’할 기회를 넓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작동하게 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마주한 북한 너머의 풍경은 통일·안보 정책이 단순한 문서 속 숫자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증액된 규모와 신규 사업들을 통해 통일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넓히고, 국민의 삶 속에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예산이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집행 가능성, 남북 관계의 흐름, 주민 및 민간단체의 참여, 지역 인프라 정비 등 다각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처럼, 눈앞의 현실이 통일의 가능성을 상상하게 하는 공간으로 더욱 발전하고, 이러한 예산이 그 공간을 더욱 풍요롭게 지원하는 힘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