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동안 고향을 찾은 많은 이들이 문화생활에 대한 갈증을 느끼고 있다. 특히 지방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경우, 수도권에 비해 문화시설 접근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끼기 쉬운 환경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을 배포하며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나섰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발행되기 시작했으며, 1차 발행 시에도 높은 활용도를 보였던 만큼 이번에도 많은 이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주목할 점은 이번 할인쿠폰이 전국 단위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민을 위한 전용 할인권도 함께 제공한다는 것이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특정 예매처를 통해 발급 가능하다.
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전국 할인권보다 더욱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한다. 공연과 전시 각각 유형별로 2매씩 지급되며, 1매당 공연은 15,000원, 전시는 5,000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할인쿠폰은 11월 27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되므로 기간 내 사용이 필수적이다. 다만, 1차와는 달리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며, 발급받은 후에는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실제로 비수도권 지역민은 이번 할인쿠폰을 통해 다양한 문화 예술을 더욱 경제적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열린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의 경우, 네이버 예약을 통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사용하면 결제 시 자동으로 5,000원이 할인되어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었다. 펙스코에서 진행된 뱅크시 사진전은 작품 감상뿐만 아니라 굿즈 판매, 포토존, 체험 공간까지 다채롭게 구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풍성한 경험을 선사했다. 특히 제1전시관에서는 석판화 기법으로 구현된 뱅크시의 작품들과 길거리에 남겨진 작품들을 사진으로 옮겨 감상의 폭을 넓혔고, 제2전시관에서는 분쇄될 뻔한 대표작 ‘풍선을 든 소녀'(<사랑은 쓰레기통에>)와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 2018년 소더비 경매 현장을 담은 영상 등을 통해 뱅크시라는 작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왔다. 사회 문제를 풍자하고 때로는 위로를 건네는 뱅크시의 작품 세계는 물론, 디즈멀랜드 프로젝트와 우크라이나 건물 잔해에 작품을 남긴 행보까지 담아내며 그의 예술 정신을 조명했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는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향유 기회를 지방으로 확산시키고,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거점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욱 쉽게 접하고, 문화 예술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나눌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