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한 식사 장소를 넘어선다. 이곳은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에 대한 깊은 향수를 담고 있는 공간이다. 고기 한 점을 맛보는 행위는 과거를 애도하고 회상하는 의례이며, 이는 곧 도시의 기억을 되새기고 공동체의 미래를 준비하는 의미를 지닌다.
장생포는 예로부터 고래의 중요한 보금자리였다. 신라 시대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잡이 그림과 곳곳에서 발굴되는 고래 뼈, 유물들은 이 지역이 선사시대부터 고래가 모여들던 깊은 바다였음을 증명한다. 동해와 남해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며 태화강, 삼호강, 회야강 등에서 유입되는 풍부한 부유물과 플랑크톤은 새우를 비롯한 작은 물고기들의 풍어를 이끌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고래들의 서식지로 만들었다. 특히, 수심이 깊으면서도 조수 간만 차가 적은 장생포 앞바다는 고래들이 새끼를 낳고 기르기에 이상적인 환경이었으며, ‘귀신고래’라 불리던 고래들이 자주 나타나는 곳이었다. 깊은 울산 바다는 큰 선박이 접안하기에도 용이하여 고래잡이 산업이 크게 발달할 수 있었다.
장생포의 포경업은 한때 엄청난 경제적 번영을 가져다주었다. 수출입 물자를 실어 나르는 대형 선박들이 빼곡했으며,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도 즐비했다. 1973년 남양냉동에 이어 1993년에는 세창냉동이 들어섰지만, 경영 악화로 문을 닫으며 냉동 창고는 주인을 잃었다. 폐허가 된 냉동 창고는 2016년 울산 남구청이 건물을 매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끝에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6층 규모의 문화창고는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거점 역할을 하며,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 아트 전시관 등을 갖추고 있다. 어린이를 위한 ‘에어장생’ 체험, 조선 시대 명화들을 미디어 아트로 재현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 그리고 신진 작가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 등 다채로운 문화 예술 콘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울산 석유화학단지의 역사와 발전을 보여주며, 당시 산업의 역군들이 겪었던 어려움과 성과를 되새기게 한다.
하지만 과거의 번영 뒤에는 산업 발전의 그늘도 존재했다. 1980년대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집중된 제련소, 석유화학공장 등은 중금속 배출로 인해 주민들에게 ‘온산병’이라 불리는 중금속 중독 질환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은 우리가 역사에서 배우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교훈이 된다.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1946년 최초 조선포경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본격화되었으나,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100년도 안 되는 짧은 역사 속에서 막을 내렸다. ‘장생포’라는 이름처럼 ‘길고 긴 생명’을 상징했던 고래는 이제 식탁 위에만 남게 되었다. 현재 장생포 고래요릿집은 대부분 혼획된 밍크고래 등만 합법적으로 유통하며, 고래고기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하지만 ‘장생포가 아니면 언제 밍크고래를 맛보겠나’라는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특별한 음식으로 만든다.
고래고기는 부위별로 12가지 이상의 다양한 맛을 낸다고 전해진다. 삶은 수육과 생회, 그리고 설탕과 참기름으로 무쳐낸 고래 육회는 소고기와 흡사한 붉은 빛깔과 풍미를 자랑한다. 고래 껍질 중에서도 고급 부위로 꼽히는 ‘우네’와 지방층과 근육층이 겹겹이 붙어 고래 특유의 맛을 극대화하는 ‘오배기’ 등은 그 맛과 식감이 일품이다. 이러한 고래고기는 단순한 음식을 넘어, 과거 포경업에 종사했던 이들의 삶과 6.25 전쟁 피란민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의 노고를 기리는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다.
결론적으로 장생포의 고래고기는 사라진 산업의 향수를 품고 있다. 고래의 시간을 씹고 도시의 기억을 삼키는 행위를 통해, 우리는 과거를 애도하고 현재를 성찰하며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는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