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아이들의 줄어드는 웃음소리와 늘어나는 어르신들의 숫자로 인해 심각한 인구 구조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통계 수치를 넘어, 세대 간의 관계를 소원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 정책들이 출산 지원, 청년 주거, 노인 복지 등 각 세대를 개별적으로 지원하는 데 집중하면서, 같은 지역에 거주하더라도 세대 간 교류가 단절되고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더 이상 세대를 나누어 지원하는 방식으로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어렵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이제는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연령통합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연령통합사회란 복잡한 개념이 아니라, 어린이, 청년, 중장년, 어르신 등 다양한 연령대가 한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만나고 교류하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시와 동네를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뛰어노는 공원 옆 벤치에서 어르신이 책을 읽고, 청년들이 지역 마을카페에서 주민들과 함께 일하는 풍경이 일상이 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OECD는 ‘모든 세대를 위한 도시(Cities for All Ages)’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도시 공간에서의 세대 간 만남과 연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안전한 보행 환경 조성, 세대를 잇는 공동체 공간 마련, 공공 서비스 접근성 강화 등의 변화가 이러한 연령통합을 실현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연령통합사회는 단순히 다양한 연령대가 같은 공간에 거주하는 것을 넘어, 세대 간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공존할 수 있는 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모든 연령대가 이용 가능한 동네 공간,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교통 및 서비스, 그리고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는 커뮤니티 설계가 필수적이다. 중요한 점은 연령통합이 단순한 복지 정책의 확장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생활 환경 전체의 설계와 운영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화해야 하며, 예컨대 청년 주택과 고령자 주거가 분리되는 대신 같은 단지 안에서 삶의 리듬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순한 물리적 공간 공유를 넘어 세대가 서로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관계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그리고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디자인이 함께 작동할 때 진정한 연령통합이 가능해진다.
현재 대통령 선거 공약들은 저출생 대응을 보육, 양육비, 주거 지원에, 고령사회 대응을 돌봄과 의료 체계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여전히 세대별 지원을 분리해서 바라보는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금 우리 사회에 절실히 필요한 것은 세대를 따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함께 살아가는 방식으로의 전환이다. 연령에 따라 정책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전 생애 주기를 아우르고 연결하는 정책의 틀을 마련해야 한다. 새 정부가 이러한 전환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공간과 정책, 서비스 설계 전반에 ‘연령통합’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주기를 기대한다. 이는 단순한 복지 확대를 넘어, 세대 간의 관계를 회복하고 연결하는 도시와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누구나 나이를 먹고, 모두가 아이였으며 언젠가는 노인이 된다는 당연한 사실을 도시와 정책이 잊지 않아야 할 시점이다. 현재 한쪽에서는 출산율 감소 통계가, 다른 한쪽에서는 고령 인구가 어린이를 앞질렀다는 뉴스가 연이어 보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위기이자 기회이며, 나이와 세대를 가르는 경계를 허물고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공간과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는 전환의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