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이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창극 중심 세계 음악극 축제>를 개최하며 뜨거운 축제의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이 축제는 한국 창극을 중심으로 동시대 음악극의 흐름과 현주소를 조망하는 자리로, ‘동아시아 포커싱(Focusing on the East)’이라는 주제 아래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전통 음악 기반 음악극을 선보이며 다채로운 문화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 축제는 국립창극단을 주축으로 기획되었으며, 4주간 해외 초청작 3편, 국내 초청작 2편, 그리고 국립극장 제작 공연 4편까지 총 9개 작품이 23회에 걸쳐 공연된다. 축제의 개막작으로는 국립극장 제작 공연인 국립창극단의 신작 <심청>이 무대에 올랐다. ‘올해의 연출가’로 선정된 요나 김이 극본과 연출을 맡은 <심청>은 효녀 심청의 고전적인 이야기를 넘어,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로 재해석하여 전통 판소리의 깊이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선으로 관객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선사했다.
축제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인 해외 초청작 <죽림애전기>는 홍콩의 전통극인 월극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중국 위나라 말기에서 진나라 초기를 배경으로, 도가 철학과 은둔의 미학을 좇는 ‘죽림칠현’ 후손들의 삶을 그린 <죽림애전기>는 2023년 홍콩 아츠 페스티벌에서 제작되어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이번 축제를 통해 국내 관객들에게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홍콩에서 온 단체 관광객을 비롯한 많은 외국인 관람객들은 <죽림애전기> 공연을 통해 중국 월극의 매력을 경험하며 문화관광을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호곤 씨는 대학원 과제를 위해 <죽림애전기>를 관람하며, 작품이 가정과 국가라는 두 가지 측면을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문화적 원형과 현대적인 기술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문화정책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이 평가하며, <세계 음악극 축제>가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초청작으로는 <정수정전>이 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조선 말, 자신의 이름으로 살아가고자 남장을 하고 과거 시험에 응하는 정수정의 이야기를 판소리와 민요로 풀어낸 <정수정전>은 유교 사상이 팽배했던 당시 여성으로서 겪는 고충과 홀로서기를 당당하게 그려내며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했다. 특히 <정수정전>은 작가, 감독, 배우가 참여하는 공동 창작 방식으로 제작되어, ‘모든 것의 중심에 너를 두거라’라는 메시지를 통해 한 인간이 자신의 이름을 지키며 꿋꿋하게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했다.
<세계 음악극 축제>는 ‘동아시아 포커싱’이라는 첫 주제를 통해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음악극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탐구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는 국립극장 프로그램 외에도 광주아시아문화전당, 국립민속국악원 등에서 연계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한·중·일 공연과 더불어, 향후 다양한 해외 작품 초청과 국공립 및 민간 단체와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다채로운 음악극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글로벌 축제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국립극장은 또한 예매 관객들에게 ‘부루마블’ 판을 제공하며 관람한 공연에 도장을 찍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관객들에게 즐길 거리를 더하고 있다. <세계 음악극 축제>는 앞으로 한국 창극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음악극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