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가 이어지며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상황에서,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활력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으며, 특히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인근에 위치한 독립서점 ‘가가77페이지’는 이 사업을 통해 그간 도서관 중심이던 프로그램을 서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주목받고 있다. ‘가가77페이지’는 그동안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왔으며,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을 통해 이러한 비전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 있다.
본래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전국 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왔으나, ‘가가77페이지’는 SNS 홍보를 통해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신청받으며 서점에서도 이러한 인문학 교육 프로그램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지시켰다. 해당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참여자들은 이상명 대표의 말처럼 “단순 지식을 전달하기보다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문학의 진정한 의미를 탐색할 기회를 얻는다. 이는 ‘인문학이 소중한 학문인 가장 큰 이유는 우리의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학문이어서’라는 이상명 대표의 철학과도 맥을 같이 한다.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인문학적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특히,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 관람 가능한 영화를 선정하여 인문학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노력했다. 1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에 대해 참여자들이 직접 활동지에 자신의 생각을 적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자들은 영화 속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기라)’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을 깊게 하고, “당신이 진정 원하는 삶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앞으로의 삶의 방향을 고민하기도 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길 위의 인문학’에 참여하는 많은 분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이는 동네 책방이 단순한 물건 판매 공간을 넘어 사람들과 교류하고 문화를 나누는 살아있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에 인문학의 중요성에 대해 “AI가 발전할수록 인문학을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은 커진다”며, 인문학적 사고 체계가 AI 활용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인 사고까지 가능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인문학이 단순히 과거의 지혜를 담는 것을 넘어, 미래 사회의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여자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다며,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제 삶에 연결해 보고 싶었다”고 프로그램 참여 이유를 밝혔다. 그는 또한 “동네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책방이나 도서관과 연결하여 다양한 인문학 수업이 진행되면 좋겠다”며,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했다. 이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지역 문화와 공공 도서관, 그리고 서점을 잇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처럼, ‘가가77페이지’에서의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전국 곳곳에서 펼쳐지는 인문학 열기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이 사업은 책방이라는 일상적인 공간에서 인문학을 만나고,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그리고 지역 주민들이 함께 소통하며 새로운 지혜와 통찰을 얻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하반기에도 이어질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우리 동네에서 만날 수 있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조용했던 동네 책방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