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가치가 점점 퇴색되고 외래어 사용이 만연해가는 시대에, 한글날을 기념하며 대학생들이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보존하려는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개최한 한글날 기념행사는 이러한 시대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며 참여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번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잔디밭에 설치된 부스들을 통해 다채롭게 진행되었다.
이번 행사의 근본적인 배경에는 우리말이 외래어나 외국어에 밀려 그 본연의 아름다움과 쓰임새를 잃어가고 있다는 심각한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외래어 사용이 당연시되고, 공공언어에서도 외래어나 비표준어가 빈번하게 사용되면서 우리말의 정체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어 왔다. <우리말 가꿈이>가 개최한 이번 기념행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배우고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했다.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들은 우리말을 제대로 알아가고 친숙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지도 위에 직접 적어보는 체험을 통해 우리말의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었다. ‘겉절이’를 ‘재래기’라고 부르는 지역의 사투리를 발견하는 것처럼,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다양한 방언의 존재를 인지하며 언어적 다양성의 소중함을 깨닫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로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을 다시 한번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확한 언어 사용법을 익힐 수 있었고, <한글에서 '한'은 무엇을 의미할까?> 질문과 같은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 활동은 한글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더불어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누리소통망에 나 언급해 줘’로 바꾸는 연습을 하며 일상 속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 습관을 반성하고 우리말 대체 표현을 익히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참여자들이 우리말을 놀이처럼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그 가치를 체감하도록 이끌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우리말 보존에 앞장서는 모습은 고무적이다. 특히 <우리말 가꿈이> 회원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한 다양한 체험 부스는 참여 연령층을 가리지 않고 모든 방문객에게 우리말에 대한 흥미를 유발했다. 행사에 참여한 방문객들은 도장 5개를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등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받았으며, 이를 통해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경험하며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를 가졌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지리적 이점 또한 행사 참여 후 가볍게 주변을 둘러볼 수 있어 더욱 긍정적인 경험을 선사했다. 더 나아가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기념행사가 10월 한 달간 더 이어질 예정이며, 변동 가능성이 있는 행사 정보는 사전에 확인 후 참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번 <우리말 가꿈이>의 활동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평상시에도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형성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으며, 젊은 세대가 우리말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주체임을 분명히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