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우리나라 수출이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인 1850억 달러를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6월 이후 4개월 연속 수출 증가세와 궤를 같이 하며, 2025년 1~9월 누적 수출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5197억 달러에 달한다. 이러한 성과는 미국과의 관세 문제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이라는 어려운 통상 환경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산업통상부는 문신학 차관 주재로 개최된 수출동향 점검회의에서 이 같은 3분기 수출 성과를 점검하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및 리스크를 분석했다. 회의 결과,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반도체, 자동차, 바이오, 선박 등은 수출이 증가한 반면, 철강, 석유제품, 석유화학, 일반기계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AI 서버 투자 계획 상향 조정과 메모리 가격 상승 흐름에 힘입어 1~9월 누적 수출 1197억 달러라는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자동차 역시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으로의 수출은 감소했으나, EU 및 CIS 등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1~9월 누적 수출 541억 달러로 최대치를 경신하는 저력을 보였다. 이는 관세 부과 품목의 감소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시장 다변화 전략이 효과를 거두었음을 시사한다.
15대 주력 품목 외에도 화장품, 농수산식품, 전기기기 등 유망 산업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각각 1~9월 누적 수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유망 산업의 선전으로 15대 주력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78.2%에서 77.4%로 소폭 감소하며 수출 포트폴리오의 다변화를 이끌었다.
반면,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았고, 일반기계 수출은 미국의 철강 파생상품 관세와 글로벌 건설경기 부진의 직격탄을 맞으며 감소세가 지속되었다. 지역별 수출에서는 중국과 미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한 반면, 아세안, EU, 인도, CIS 등으로는 수출이 증가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특히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철강, 선박, 자동차 부품 등의 호조로 4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대EU 수출은 자동차, 반도체, 선박, 석유제품 등이 고르게 증가하며 1~9월 누적 수출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신학 차관은 이러한 수출 성과를 두고 “기업들의 수출 시장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에 기인한다”고 평가하며,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통상 환경 속에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국익 최우선 원칙에 따라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진행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우리 수출의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2025년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3% 성장을 견인한 주요 제품 출시와 같은 긍정적인 모멘텀을 이어가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