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의 광범위한 장애가 발생하며 국민 불편이 야기된 가운데, 정부가 긴급 복구 작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119안전신고와 국가기록포털을 포함한 총 110개의 핵심 시스템이 복구되어 서비스가 재개되었으며, 지자체 온라인 상담 또한 재개되어 행정 공백 최소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화재는 국가 주요 행정정보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중추적인 정보 집적 시설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웠다.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민 안전 및 재난 관리 측면에서 매우 시의적절하다는 평가다. 또한, 국가의 중요한 기록물을 관리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재가동은 정보 접근성을 회복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분석된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2일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 송구하다”고 사과하며,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에 최우선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하는 등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또한, 대통령실 AI 미래기획 수석의 현장 방문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전문 연구기관의 참여를 통해 안정성과 재발 방지를 고려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수수료 감면 지원 현황 및 추가 지원 방안도 점검되었으며,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되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재개하도록 조치했다. 정부는 예비비를 투입하여 복구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리는 한편, 시스템이 정상화될 때까지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여 행정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행정력을 집중하는 동시에,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하여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윤호중 장관의 의지가 주목된다. 정부는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실시간 복구 현황 공개 및 대체 서비스 마련에 만전을 기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