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군인들이 나라를 지킨다는 자부심으로 헌신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비판이나 여론에 상처를 입고 좌절하는 경우가 부쩍 늘고 있다. 이러한 군인들이 겪는 마음의 혼란과 불안을 치유하고 자부심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힐링 강좌 요청이 올해 들어 유독 증가하고 있다. 이는 곧 일선 군인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 어려움이 그만큼 심각하며, 그들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회복하고자 하는 절박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이자 신영철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은 군 부대 강연을 시작할 때 “군인은 무엇을 먹고 사나”라는 질문을 던지며, 군인들이 왜 목숨을 걸고 전쟁터로 향하는지, 소방관들이 왜 죽음을 각오하고 불길 속으로 뛰어드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이 질문은 그들이 단순히 높은 보상이나 금전적 이익 때문에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오히려 국가와 사회, 그리고 국민들로부터 부여받는 ‘가치’에 대한 인정과 존경심이 그들을 움직이는 더 큰 원동력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신 위원장은 1969년 아폴로 11호 프로젝트 당시 NASA 청소부의 일화를 통해 이러한 ‘일’에 대한 자부심과 숭고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당시 대통령이 NASA를 방문했을 때, 한 청소부는 자신을 “사람을 달에 보내는 일을 하고 있다”고 답하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이러한 구성원 모두의 헌신적인 마음가짐이 어려운 프로젝트의 성공을 담보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야기는 비록 감동을 위해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있더라도, ‘일’에 대한 개인의 마음가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실체적으로 느끼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군인과 소방관들이 겪는 어려움은 단순히 직무의 고됨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존경이 부족할 때 더욱 커질 수 있다. 미국에서 소방관이 가장 존경받는 직업 1위로 꼽히는 이유 역시, 선한 가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숭고함에 국민들이 존경을 표하기 때문이다. 국가와 사회가 군인들에게 마음에서 우러나는 존경의 예를 표하는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다.
결론적으로, 신영철 위원장은 “당신은 무슨 일을 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통해 우리 각자가 자신의 일에 대해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는지 성찰하도록 이끈다. 군인과 소방관들이 겪는 어려움의 근본적인 해법은 그들의 일이 가진 본질적인 가치를 사회적으로 인정하고 존경하며, 개개인이 자신의 일에 대한 자부심과 멋진 스토리를 만들어나가는 데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누구도 대체할 수 없는 자신만의 멋진 대답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곧 개인의 정신적 건강 증진과 사회 전체의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