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이 오는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선왕릉의 가치를 알리고, 그 속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체험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의 배경에는 유적의 보존과 역사 교육의 필요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가 존재하며, 「왕릉팔경」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획되었다.
본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은 그 자체로 소중한 역사적 자산이지만, 단순히 박제된 유적에 그치기 쉬운 위험성을 안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조선왕릉은 그저 오래된 무덤으로 인식될 뿐, 그 안에 담긴 복잡한 역사적 맥락이나 당시의 정치·사회·문화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근현대로 이어지는 역사 속에서 왕릉 제도가 어떻게 변화하고, 황제국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역사적 단절과 인식 부족은 유산의 가치를 온전히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장애물이 된다.
「2025년 하반기 왕릉팔경」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솔루션’을 제시한다. 이번 하반기 프로그램은 특히 8월 21일, 9월 25일, 10월 16일에 예약이 가능하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회당 25명(최대 4인 예약 가능)으로 참여 인원을 제한하여 밀도 높은 관람 경험을 제공하며,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를 위한 전화 예약(02-738-4001)도 병행한다.
이번 프로그램의 핵심은 단순히 왕릉을 둘러보는 것을 넘어, 왕릉과 왕릉을 잇는 길 위에서 역사의 숨결을 직접 느끼고 배우는 데 있다. 특히 이번 여정은 구리 동구릉에서 시작하여 남양주 홍릉과 유릉까지 이어지며, 조선 왕실뿐만 아니라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까지 아우른다. 이는 조선 왕릉과 대한제국 황릉을 비교하며 역사적 전환기를 이해하고, 근대 전환기의 역사와 문화를 몸소 체험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비롯한 9기의 능침이 모여 있어 조선 왕릉의 다양한 시대적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특히 건원릉 봉분을 덮은 억새는 태조의 유언과 후손들의 효심이 깃든 전통으로, 600여 년간 이어져 온 살아있는 역사다. 또한, 왕릉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표석의 유래, 송시열의 상소로 시작된 표석 설치와 전서체 사용의 배경 등은 조선 시대 예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
순종황제의 능행길은 대한제국의 황릉 양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1908년 순종이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은 제사 횟수를 축소하며 왕릉 제사의 변화를 보여준다. 비록 대한제국 선포 이후 예제 제도가 정비되면서 한식 제사가 청명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는 등 혼선이 있었지만, 오늘날까지 제사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져 온 점은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홍릉과 유릉은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른다. 이는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체제를 전환한 것과 맥을 같이하며,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 장식 등에서 황제의 권위를 강조하면서도 주권을 잃은 민족의 아픔을 담고 있다. 특히, 헌종과 두 왕비를 모신 삼연릉은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유일한 사례로, 왕과 왕비의 위계 변화와 석비 제작의 경제적 부담 등 당시의 역사적 맥락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이처럼 「왕릉팔경」 프로그램은 과거의 ‘문제’였던 역사적 단절과 인식 부족을 ‘해결’하고, 조선왕릉과 대한제국 황릉에 담긴 깊이 있는 역사와 문화를 미래 세대가 기억하고 계승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자들이 역사의 숨결과 함께 호흡하며, 단순한 관람을 넘어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자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