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회가 인정하는 표준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한국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한국이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기술이사회(TMB)에 연임하는 데 성공하며, 2028년까지 ISO의 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한국의 국제 표준화 역량을 다시 한번 확인받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번 연임은 한국이 직면한 국제 표준화 분야에서의 영향력 확대 필요성이라는 문제의식 속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TMB는 ISO의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표준위원회 간 업무 조정, 의장국 임명 등 ISO의 표준 활동 전반을 실질적으로 조율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기구에서의 활동은 한국이 국제 표준화 논의를 선도하고 국익에 부합하는 표준을 제정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은 이번 총회에서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의 새로운 표준위원회 설립을 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또한, ISO 회원국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주관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더불어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표준화 기관과의 협력 MOU 체결을 통해 파트너십을 강화했으며,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하며 미래 기술 표준화 논의를 위한 기반을 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김대자 원장은 이번 연임을 통해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임 성공은 향후 한국이 국제 표준화 논의에서 더욱 발언권을 확보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주도권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