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의 갯벌은 오랫동안 낚시꾼들에게 불편한 존재로 여겨져 왔다. 진흙으로 뒤덮인 넓은 땅은 낚싯대를 드리우기에도 방해가 될 뿐이었다. 하지만 이제 갯벌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져야 할 때다. 해양경찰청이 선보인 해양환경 온라인 교육 플랫폼 ‘하이 블루카본'(hibluecarbon.kr)은 단순한 진흙 바다가 아닌, 지구 온난화를 막는 중요한 탄소 저장고이자 철새의 생명을 지켜주는 생명의 보고로서 갯벌의 진정한 가치를 조명한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갯벌에 대한 기존의 오해와 이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자리한다. 갯벌은 숲보다 50배 빠르게 탄소를 흡수하는 ‘숨은 영웅’으로 알려졌지만, 일반 대중에게 그 중요성은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다. ‘하이 블루카본’은 이러한 교육의 부재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통해 탄생한 플랫폼이다.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월드비전,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 등 다양한 기관과 지자체가 힘을 합쳐 갯벌의 가치를 알리고 해양환경 보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플랫폼은 ‘디지털로 만나는 블루카본’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한다. 스마트폰으로 QR 코드를 찍으면 화면에 고래가 나타나는 증강현실 체험, AI 캐릭터 ‘탐험대장 노을이’와 ‘꼬마 해홍이’가 염생식물과 블루카본의 중요성을 설명해 주는 코너는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숲보다 50배 빠른 탄소 흡수 능력과 수백 년간 탄소를 저장하는 해양 생태계의 능력은 갯벌이 단순한 ‘불편한 땅’을 넘어 지구를 지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또한, ‘다시 본 갯벌의 의미’ 섹션에서는 갯벌이 철새들의 중요한 먹이터이자 생물 다양성의 보고라는 점을 강조한다. 세계 5대 갯벌에 속하는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의 자부심과 더불어, 퉁퉁마디,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들이 짠 환경을 이겨내며 갯벌 생태계를 지탱하는 ‘숨은 영웅’임을 설명하며 그 중요성을 재확인시킨다. ‘배움자료 살펴보기’ 메뉴에서는 염생식물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담은 세밀화 엽서를 제공하고, 교안과 영상 자료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 높였다. ‘나도 해양환경 보전에 동참하겠다’는 환경 서약 코너는 개인의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하이 블루카본’은 현장 활동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인천시, 광양시, 부안군과 협력하고 포스코이앤씨, 한국전력공사 등 민간 기업·단체와 손잡고 염생식물 파종과 군락지 조성 같은 현장 복원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인천 소래습지, 부안 줄포만, 광양 섬진강 하구 갯벌 등 서해안 일대 약 2만 평 부지에서 1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칠면초·퉁퉁마디 등 염생식물 100kg을 파종하는 블루카본 보호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러한 민·관 협력은 해양환경 보전을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실천 가능한 정책으로 현실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하이 블루카본’ 플랫폼은 갯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불편한 땅’에서 ‘지구의 허파’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해양은 탄소중립과 기후 안정을 위한 핵심 자원이지만, 그 가치를 지켜내기 위해서는 정책뿐만 아니라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관심과 참여가 절실하다. ‘하이 블루카본’은 디지털 공간에서부터 시작되는 국민 참여의 첫걸음을 열어주는 모델로서, 앞으로 해양환경 보전 정책이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