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과 지원 강화 없이는 대한민국이 세계 3위 게임 강국으로 도약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15일,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하여 게임 업계 관계자들과의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고, 이러한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국내 게임 산업이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 방향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번 간담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첫 번째 게임 분야 간담회로서,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 및 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이는 게임 산업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직접 듣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게임의 잠재력을 재조명하기 위한 자리였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번 간담회의 배경에 대해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 현장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간담회 시작에 앞서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직접 체험하며 게임 콘텐츠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다른 사람의 세계도 볼 수 있는 것이냐”, “이 세계에서 차 하나를 사려면 몇 시간 일해야 되느냐”라며 게임 속 경제 시스템과 콘텐츠에 대해 구체적으로 질문하는 등,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단순한 오락을 넘어 산업적 가치로 재인식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는 포부를 밝히며, 문화산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게임 분야를 강조했다. 그는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으로 재인식해 지원할 필요가 있고, 이를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는 그동안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해 위축되었던 게임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방향 전환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특히, 게임 업계가 오랫동안 요구해 온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한 이 대통령의 발언은 주목할 만하다. 그는 이 문제에 대해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 사업자의 요구와 함께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는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산업 발전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모두 충족시키는 균형 잡힌 정책 마련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결국 “정책 판단의 문제로서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해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는 그의 발언은, 단순히 산업계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합의를 통한 해법 모색을 예고한다.
이어진 비공개 토의에서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시킬 기회가 있음을 강조하며 산업으로서의 게임 진흥 필요성을 피력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으로서 글로벌 진출을 위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작은 규모의 지원이라도 보다 많은 팀들에게 제공되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현실적인 제안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의 특성, 문화콘텐츠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 확보 및 멀티 유즈 전략 등 게임 산업의 다각적인 측면을 깊이 있게 논의했다. 이러한 심도 있는 토론은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게임 산업이 직면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수립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게임 산업은 단순한 오락 문화를 넘어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국부 창출의 원천으로 인정받는 전환점을 맞이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