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좋은 날, 공원에서 담소를 나누는 어르신들의 모습은 평화롭지만, 그들이 사용하는 낡고 고장난 의자는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불편함의 단면을 드러낸다. 멀쩡한 벤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르신들이 굳이 낡은 의자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곧 정책 대상자의 실질적인 삶을 면밀히 살피지 못한 채 획일적으로 조성된 공공 시설물이 얼마나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명백한 ‘문제점’이다.
원문 자료에 따르면, 지자체에서 보기 좋게 조성한 공원의 정자, 평상, 벤치는 등받이가 없고 딱딱하며, 계절에 따라 뜨겁거나 차가워 어르신들이 앉기에 불편하다는 것이다. 반면, 낡고 허름한 의자일지라도 등받이가 있고 쿠션이 있는 좌판은 어르신들에게는 훨씬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이는 단순히 시설물의 디자인이나 신축성을 넘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과 일상적인 경험을 고려한 설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한다. 이러한 어르신들의 구체적인 불편 사항과 선호도는 ‘집 현관은 이용하시는데 무엇이 불편하십니까?’와 같은 일상 속 경험에 대한 세심한 청취를 통해 파악되어야 마땅하다.
현행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와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는 어르신들의 거주 주택 종류나 점유 형태, 자가 보수율 등 사실 확인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러한 통계 자료는 어르신들의 평균적인 삶의 실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화장실 사용의 불편함’, ‘높은 욕조’, ‘고르지 못한 보도블럭으로 인한 낙상 경험’, ‘짧은 보행 신호’ 등 일상에서 반복적으로 겪는 불편함과 위험 요소들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건축공간연구원 고령친화 커뮤니티 정책연구센터가 2021년 발간한 “어르신들이 이야기하는 건축과 도시공간”과 같은 연구는 이러한 경험 체크식 조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시다. 이 보고서는 어르신들이 화장실 사용 시 겪는 구체적인 불편함, 외부 활동 시 보도블럭의 고르지 못함이나 짧은 보행 신호로 인한 낙상 경험 등을 상세히 기록하며, 어르신에게 적정한 높이와 너비의 욕조, 안전 손잡이 설치, 보행 신호 시간 연장 등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어르신을 위한 정책 수립에 매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향후 5년간의 국가 고령화 대응 정책 방향을 결정할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26~2030)이 수립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국가 기본계획이 수립되는 과정에서, 어르신들의 일상을 살아가는 현장의 목소리와 실제 경험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 대상자의 실질적인 삶의 불편함과 개선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정책만이 ‘국민 체감’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통계적 사실 확인을 넘어, 어르신들의 생생한 경험과 인식을 정책 수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우리는 어르신들이 재활용 쓰레기장에서 주워 온 의자가 아닌, 편안하고 안전한 공공 시설물을 이용하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진정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모든 세대가 나이 들어가는 과정을 지원하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