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들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인간의 미래를 향한 절박한 경고로 해석된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식물의 꽃가루를 옮겨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생태계 유지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미래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크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를 잃거나 개체 수가 줄어드는 현상이 속출하면서, 생태계 전반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개최되는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통해 기후변화로 달라지는 곤충의 삶을 조명하며 생태계의 소중함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전시에서는 약 4억 년 전부터 오늘날까지 진화해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이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뛰어난 적응력으로도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문제 앞에서는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8종을 통해 곤충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겼다. 반면,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서식지를 오히려 확장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의 생존율이 감소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의 감소로 인해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러한 곤충의 변화는 곧 인간이 직면할 문제의 전조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에 있다.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고, 이는 해수 온도와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탄소중립은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개개인의 일상에서의 실천이 필수적이다. 전시는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상기시키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떠올리고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획전은 10월 26일까지 진행되며, 초등학생을 포함한 가족 단위 관람객에게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