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앞두고 정부와 공공기관의 AI 전환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작 AI가 성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 데이터가 부재한 상황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수많은 공공 서비스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 시스템’의 부실한 운영이 AI 전환을 가로막는 핵심적인 문제점으로 지목된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AI 전환은 단순히 AI 기술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IT 업계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만 년을 운영해도 서비스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며 현재 공공 서비스의 현주소를 꼬집었다.
로그(Log)는 원래 배의 항해 일지를 의미했으나, 현대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 즉 사용자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등 다양한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시스템 로그, 애플리케이션 로그, 보안 로그 등 기록의 종류도 다양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운영 상태, 사용자 행태, 보안 위협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공공 서비스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로그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는 것이 박 의장의 분석이다. 이는 곧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메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지 알 수 없어 사용자 편의를 위한 메뉴 재배치가 어렵고,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려도 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할 방법이 없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불편함이나 오류로 인해 중단하고 이탈해도, 그 이유를 알 수 없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다. 박 의장은 이러한 상황이 공공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불편함과 좌절감을 안겨주는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AI는 데이터를 먹고 성장하며, 이 데이터는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쌓이고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통합되어야 비로소 가치를 지닌다. 만약 공공 서비스에서 이러한 데이터가 제대로 쌓이지 않는다면, AI 비서가 과거 사례를 분석하여 시너지를 제안하거나, 회의록 기반의 업무 일정 관리 및 관련 문서 링크 제공과 같은 AI 활용은 먼 미래의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AI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환경 구축,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일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데이터가 축적되는 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이다. 박태웅 의장의 분석처럼, 로그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동과 데이터 축적 없이는 어떤 AI 도입도 실질적인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