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으로서 주민들의 삶과 지역사회의 발전을 잇는 ‘다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깊은 고찰이 제기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주민들의 다양한 요구와 복잡한 민원을 해결해야 하는 공무원들의 어려움이 드러나며,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본연의 역할을 잊지 않고 주민들과 함께 상생하기 위한 새로운 자세가 요구된다.
지난 4월 5일, 국가공무원 공채 시험이 치러졌던 날, 충주시 주덕읍 행정복지센터의 김윤서 주무관은 시험장의 풍경을 떠올리며 7년 전 공무원 시험 준비생 시절을 회상했다. 당시 김 주무관은 합격만을 바라보며 집과 독서실만을 오가는 답답한 현실 속에서 “어떤 어려운 일이 주어지더라도 웃으면서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다짐을 품었다. 하지만 7년이 지난 지금, 증명서 발급과 전입신고를 받는 민원 담당 공무원이 된 그는 당시의 다짐이 얼마나 지키기 어려운 말이었는지를 뒤늦게 깨닫고 있다. 이처럼 많은 공무원들이 처음 공직에 발을 들였을 때의 순수한 열정과 다짐이 현실적인 업무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경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공직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로 제기될 수 있다.
김 주무관은 동료 공무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만이 이러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아님을 확인했다. 신규 공무원 시절의 ‘반짝임’을 간직한 동료들의 이야기는 비록 각자의 가치관과 지향하는 목표는 다르지만, 공직에 대한 처음의 마음은 유사했음을 보여준다. 읍행정복지센터에서의 일상은 분주하게 흘러간다. 아기의 출생신고를 받으며 훈훈함을 느끼기도 하고, 사망신고를 받으며 슬픔을 나누기도 한다. 또한, 길거리의 수많은 사람들을 스치듯 지나치는 민원인으로 여기기보다 그들의 목소리를 마음속으로 듣고, 때로는 민원을 받고 사실조사를 나갔던 아득한 꿈을 떠올리며 일에 대한 자신의 감정이 무너져 있음을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경험들은 민원 업무가 가진 감정적 무게감과 공무원들이 겪는 내면의 갈등을 보여준다.
이러한 감정적 어려움은 예상치 못한 경험을 통해 추스르게 된다. 산불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됨에 따라 일요일에도 산불 근무를 서게 된 김 주무관은 팀장들과 함께 마을을 순찰하며 산불 예방 및 행동 요령에 대한 홍보지를 배포했다. 민원 업무 성격상 마을 지리에 어두웠던 그는 꼼꼼하게 마을을 눈에 담았고, 공설묘지를 찾은 성묘객들에게 산불 예방 홍보물을 나누어주며 국가적 재난 상황에 보탬이 되는 것이 공무원의 일임을 다시금 느꼈다. 이어서 이어진 여러 유관기관의 성금 기부는 우리가 사는 지역사회가 서로 돕고 보듬는 공동체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으며, 이러한 공동체 안에서 공무원의 역할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냈다.
7년이라는 시간 동안 공직 생활을 이어온 김 주무관은 이제 공무원이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다리’와 같다고 정의한다. 주민들이 안전하게 건너편으로 나아가 서로 돕고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등을 내어주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은 그에게 가장 강하고 튼튼한 돌다리가 되고 싶다는 열망을 불러일으켰다. 과거 벽을 더듬으며 한 걸음씩 나아가던 모습에서 벗어나, 이제는 분명한 목적지를 향해 빠르게 뛰어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다진다. 이는 공직자로서 주민들과 지역사회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새로운 다짐이며, 앞으로 그가 어떠한 ‘다리’ 역할을 수행해 나갈지 주목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