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국민 생활과 직결된 다수의 중요 정보 시스템이 먹통이 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13일 6시 기준으로 전체 260개 시스템, 즉 36.7%가 복구되었지만, 1등급 시스템 30개(75%)와 2등급 시스템 35개(51.5%)가 포함되어 있어 사태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특히, 국민들이 온라인으로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물품을 편리하게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던 1등급 시스템인 우편정보 ePOST 쇼핑과 차세대종합쇼핑몰(나라장터 쇼핑몰)의 복구는 다행이지만, 여전히 많은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화재로 인해 행정서비스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의 복구가 재개되면서 전자바우처 결제, 지방자치단체의 예탁금 납부, 이용자의 본인부담금 납부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는 다시 이용 가능하게 되었으나, 이는 전체 복구의 일부일 뿐이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13일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1차 회의를 개최하여, 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심층적으로 점검하고 신속한 복구 방안을 논의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번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를 최단기간 내에 해결하기 위해 대국민 주요 서비스와 업무 등급을 기준으로 복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최적의 복구 방식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특히 화재와 분진 피해가 심각했던 7-1 전산실 등의 시스템에 대해서는 데이터 복구 후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에 신규 장비를 도입하여 복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화재 및 분진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전산실은 중요도에 따라 신속하게 시스템을 복구하되, 7-1 전산실과 관련된 시스템은 백업 또는 옛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시스템별 특성에 맞는 복구 방안을 수립 및 추진하여 정상화를 앞당길 예정이다.
이러한 복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에 더해 제조사 복구 인원까지 투입하며 복구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한편, 중대본은 정보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 불편 민원 처리 상황도 면밀히 점검했다. 화재 발생 다음 날인 9월 30일에는 2,700여 건에 달했던 장애 관련 콜센터 상담 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현재는 일일 300건 내외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요 상담 내용은 시스템 장애로 인한 생활 불편, 대체 시스템 신청 방법, 기한 연장 등에 대한 문의였으며, 각 기관은 이러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대체 시스템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정부는 시스템별 상황에 맞는 세부 복구 방안을 수립·추진하여 중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연일 밤낮으로 복구에 매달리고 있는 정부·공공기관 및 민간업체 직원들의 신체적, 정신적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근무 환경을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태는 정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으며, 신속하고 체계적인 복구를 통해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공공 서비스의 정상화를 이루는 것이 정부의 최우선 과제임을 시사한다.